ktx 취소 수수료 알아보기
오늘은 ktx 취소 수수료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끔 기차타고 여행을 가거나 일이 생겨 출장을 가거나 다양하게 ktx를 이용하게됩니다.
하지만, 일정이 취소가 되거나 문제가 생기면 ktx를 취소하셔야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ktx 취소 수수료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tx 취소를 하시려면, 먼저 승차권 구입을 하셔야합니다
승차권 구입의 경우, 홈페이지나, 코레일톡 어플, 승차권 자동발매기, 기차역, 승차권 판매대리점에서 구매를 하시면됩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으로 결제를 할 수 있어서 아주 간편하게 ktx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입 기간의 경우, 열차 출발 1개월전부터 예약을 하실 수 잇게됩니다.
위의 내용을 보시면서 자세하게 한번 이해해보시기 바랍니다. ktx를 발권하실 때, 열차출발 20분전까지 구매가 가능하니 이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tx 티켓을 발권하실 때, 현금이나 포인트 , 신용카드를 이용하셔서 홈페이지에서도 가능하며, 결제금액이 5만원이 넘는다면 신용카드 할부가 가능합니다
이 후, 직접 발권을 사용하실 수 잇는 장점이 있으니, 알아두시면좋습니다
이제 ktx 취소 수수료에 대해서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ktx가 가버린 경우, 출발 시각 이후에는 역에서만 반환이 됩니다.
출발 시간 이전에는 어플이나, 홈페이지를 이용하셔서 바로 반환이 가능하며 ktx를 취소한 수수료에 대해서 표가 나와있습니다.
구입한 승차권은 언제 취소하냐에 따라서 ktx 수수료가 다를 수 잇습니다
ktx 취소 수수료입니다.
당일 부터 1시간 전이면 인터넷에서 취소를 하시면 400원, 역에서하시면 5%가 취소가됩니다
그 후, 1시간부터 출발시각까지 10% ktx 취소 수수료가 들게되며, 출발 후는, 자동취소가 됩니다.
15%의 수수료가 되게되며, 반환할 경우 역에서만 가능하게됩니다.
역에서 반환을 할 경우 60분 이후에는 40%가 되게 되니 이부분은 체크해주시면됩니다
취소의 경우, 자신의 사정때문에 취소를 하는것이 반환의 경우는 사정으로 인해서 이용을 못할 경우입니다.
즉 ktx 취소를 하면 나오는 수수료는 1일 이전까지는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 후, 400원부터 10%와 15%수수료가 들게됩니다.
전화나 인터넷을 이요하셔서 반환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을 클릭하셔서 자세 히읽어보시면 ktx 취소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수수료가 들기 때문에 최대한 1일전에 하시는게 좋을거같네요
여행구간이 변경이되면 ktx 취소를 하는것이 아니라, 변경에 대해서 알아보는것이 좋습니다.
추가금액을 지불 하고, 승차권을 재구입하시거나, 여행도착역 전에 내릴 경우, 반환 수수료를 뺀 나머지를 반환 하여 주니 이부분은 참고하시면좋을거같습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ktx 승차권을 취소하거나 구매하기 때문에 이런일이 발생할 일이 없지만 알아두시면 유용하실 거같습니다.
ktx 취소 수수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외에 매진열차 예약대기나, 선물하기 등을 통해서 ktx 예매도 가능합니다.
여행을 가시는 분들 미리미리 체크하시고 이용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오늘은 ktx 취소 수수료를 설명해드렷는데, 체크해두시면 좋을거같습니다
즐거운 하루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