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식 부조금 액수 3만원 5만원 10만원 적당선 알아보세요



 

장례식 부조금 액수 3만원 5만원 10만원 적당선 알아보세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것 중 하나가 바로 장례식에 납부를 하는 부조금입니다



부조금의 경우는 홀수로 내는것이 맞는데요

보통 3만원부터 5만원 7만원 10만원 정도로 부조금을 내게되는데요.

 

 

 

자신의 친한정도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지게되며 이는 장례식에서 자신의 주변사람들을 보면서 조금 맞출필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례식에서 많은 분들이 부조금을 내시게되는데요

기본적으로 동양에서는 홀수로 내는것이 예의입니다.

하지만, 이때 10만원 20만원은 짝수 단위로 포함이되지만, 홀수로 계산을 하기 때문에 무관합니다.

예전부터 동양에서는 홀수가 양, 짝수가 음을 상징하게되었는데요.

많이들 아시겠지만, 3,7은 행운의 숫자로 많이 유명합니다



또한, 장례식의 경우 죽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죽음의 숫자 4, 악마의 숫자 6 이런식으로 짝의 숫자를 넣는것은 정말 잘못된것인데요.

동양에서는 특히 이러한 점들이 심하기 때문에, 홀수로 내는것이 예의라고 생각을 하시면됩니다.

 

 

 

 

또한, 축의금이나 조의금 부조금 모두, 홀수로 내는것이 동야에서의 가장 기본적인 예의이기 때문에 이러한것들을 알아두시면됩니다

 



하지만 10만원 20만원의 경우는 3만원 7만원이 합쳐진 10만우너으로 홀수와 홀수가 더해져서 홀수라는 의미로 해석을 하게됩니다

또한 20만원도 15만원과 5만원으로 해석을 해보실 수 있기 때문에 크게 상관을 안쓴다고 보시면되는데요.

짝수 숫자만 아니라면 장례식에서 부조금을 내는것은 크게 부담을 안가지셔도 됩니다



연락이 뜸하던 동창들의 경우는 장례식에서 만나 부조금을 안내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또한, 친한 경우는 3~5만원 정도가 적당하며 자신의 가까워질 수록 액수를 올려주시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자신의 집안끼리 자주 왕래가 있던 집안들이라면 10만원 정도로 장례식에 부조금을 주면서 위로를 해주시는것이 중요한데요.

이러한것들을 알아두시면 크게 부담감이 없으실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동영에서는 장례식을 할때, 잔칫상이나, 차례 등등에 있어서 접시수나 음식 수는 홀수로 맞춘다는 사실을 아셨나요

은근히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 이역시 위에서 설명드린 홀수와 짝수의 차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요즘은 덜해졌지만, 그래도 기본적으로 장례식에서는 이렇게 홀수단위로 넣어주시는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생각보다 간단하게 장례식 부조금에 대해서 소개해드렷는데요.

자신이 부담이 안가는 선에서 진한 정도를 생각하여 부조금을 내는것이 맞으며, 친구 사이일 경우는 너무 큰 액수보다는 적당한 액수가 더 좋습니다.

또한, 정말 친한 친구라면 3~10만원을 다양하게 내도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자신의 능력 내에서 하신다면 그 친구도 이해를 해줄거라 생각을 하시면됩니다.

또한 그 친구는 친구로써 와준것에 더욱 고마워 하기 때문에 장례식 부조금에 대해서 크게 신경을 안쓰게됩니다

답글 남기기